메모리 계층 구조
메모리 계층의 관계
접근시간 ↓ → 비트당 비용 ↑
용량 ↑ → 비트당 비용 ↑
용량 ↑ → 접근 시간 ↑
크고 저렴하고 속도가 느린 메모리 <=> 작고 비싸고 빠른 메모리 / 이들을 보완하면서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함 ⇒ 저속 메모리에 대한 접근 회수 줄이는 방향으로
참조지역성: 처리기의 메모리 참조는 인근 지역으로 몰리는 경향 존재
캐시메모리
처리기는 명령어를 가져오기 위해 메모리를 적어도 한 번 접근해야 o, 처리기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큰 속도차이 존재 ⇒ 처리가와 메모리 사이에 캐시와 같이 용량은 적지만 빠른 메모리 제공
처리기가 메모리에서 워드를 읽을 때 먼저 캐시에 있는지부터 검사 → 있다면 캐시에서 참조 → 없다면 주기억장치 블록을 캐시로 읽고,
해당 워드를 처리기로 전달
하나의 캐시뿐만 아니라 L1, L2, L3같이 다단계 캐시를 사용할 수 o
캐시 설계
- 캐시의 크기
- 블록의 크기
- 블록의 크기가 커질수록, 많은 데이터가 캐시로 이동 ⇒ 캐시 적중률 ↑, but 너무 커지면 오히려 ↓
- 사상함수
- 블록이 캐시의 어느 위치에 저장될지 결정
- 교체 알고리즘
- 새로운 블록을 적재한 곳이 없을 때 교체할 블록 선정
- LRU(least-recently-used) 등
- 쓰기 정책
- 메모리 쓰기 연산을 언제 수행할지 결정
'이론 > 운영체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OS] 운영체제의 결함 종류 (0) | 2023.07.20 |
---|---|
[OS] 운영 체제의 주요 성과, 프로세스 (0) | 2023.07.19 |
[OS] 순차처리, 단순 일괄처리, 멀티프로그래밍 일괄처리 (0) | 2023.07.16 |
[OS] 운영체제의 기능 (0) | 2023.07.15 |
[OS] 컴퓨터 기본 구성요소/인터럽트 (0) | 2023.06.23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