웹/CSS

[CSS] 태그에 직접 스타일 속성 적기, 표기법 종류

ohojee 2023. 8. 26. 03:28

리액트를 사용해서 프론트를 만들고 있다. 더해서 스타일 컴포넌트도 이용하고 있다.
스타일 컴포넌트에 적는 속성의 형식과 태그에 직접 적는 속성의 형식이 달라서 매번 헷갈린다. 
 
스타일 컴포넌트 같은 경우

const OneSentenceContainer = styled.div`
    display: flex;
    justify-content: center;
`;

와 같이 세미콜론으로 속성들을 나누고, 케밥 표기법을 사용한다.
케밥 표기법이란 꼬치에 고기가 끼워져 있는 것 처럼 '-' 하이픈으로 단어와 단어 사이를 이어준다. justify-content같은 형식이다.
 
그에 반해 태그에 직접 속성을 지정하는 경우는 

<div style={{ display: 'flex', justifyContent: 'center'}}>
</div>

이와 같이 일단 style을 {{}} 중괄호 두개로 감싸고, 쉼표로 속성들을 나눈다.
속성명에는 카멜 표기법을 사용하고 지정하는 속성을 따옴표로 감싸주어야 한다.
카멜 표기법은 첫 단어를 제외하고 이어지는 단어의 첫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하는 것이다. justifyContent처럼 말이다.
 
표기법에 대해 더 말하자면 표기법의 종류에는 파스칼 표기법과 스네이크 표기법이 있다.
파스칼 표기법은 카멜 표기법과 비슷하지만 첫 단어까지 대문자로 표기한다는 점이다. JustifyContent와 같이 표기한다.
스네이크 표기법은 단어 사이를 '_' 언더바로 이어준다. justify_content와 같다.
 
 
 
참고 블로그
https://togll.tistory.com/53